* 며칠 사용해보니 구글 크롬(설치된다 ^^)은 몹시 느리다. 네이버 카페에서 페이지 새로고침을 해보면 파이어폭스가 더 빠릿한 반응을 보인다.
* 유튜브 480p~720p 영상은 시청 가능하다.(구글 크롬만 가능)
* GTK 공부를 위해 Visual Studio Code를 설치했는데 시스템이 느려서 자동완성 기능은 함수 이름을 다 쳐도 안 나오네요.(GtkWidget 입력)
-> CodeBlocks 20.03도 VS Code도 동일한 결과.
-> nvim과 Coc+clangd 조합으로 사용해보니(펜4 3.4 테스트) 충분히 실사용 가능한 수준.
* 우분투 22.04(Q9550s)/리브레 오피스 Writer 한글 입력 반응이 너무 느린데 펜티엄 4 Arch Linux/리브레 오피스 7.3.7.2는 그보다 더 빠르게 반응하는군.
* 한글 입력은 ibus를 설치했음.
* archinstall로 설치를 했는데 /dev/sda -> Windows XP, /dev/sdb -> Arch Linux 기존에 /dev/sdb에 주분투 22.04를 Arch Linux로 교체를 했는데 Grub이 기존 버전을 대체하는 과정에서 Windows XP가 부팅되지 않는 상태로 됨. 검색 끝에 ms-sys 유틸리티로 XP 부팅은 살려놓았음. 현재는 /dev/sdb에 Grub이 설치돼서 부팅 순서를 /dev/sdb로 해놓음.
* sudo grub-mkconfig -o /boot/grub/grub.cfg
를 하면
/usr/share/grub/grub-mkconfig_lib: 263 줄: printf: '$': 유효하지 않은 서식 문자
오류가 나면서 올바른 grub.cfg를 만들지 못한다. 검색해보니 중국어에서도 같은 문제가 생기는 것 같다.(https://bbs.archlinuxcn.org/viewtopic.php?id=12793&p=2) 링크 게시물대로 하니 내 Windows XP도 잘 찾아서 grub 메뉴에 잘 등록시켜줬다. 다만 grub-customizer 실행하면 동일한 문제가 발생했다. 결론은 grub-mkconfig 스크립트 문제이다.
$LANG=C
$sudo grub-mkconfig -o /boot/grub/grub.cfg
=>로 하니 잘 동작한다. 그림을 참고. LANG=C는 Localization을 disable하는 기능이라고 한다.
* playonlinux를 이용해서 한컴오피스 2014와 한컴오피스 NEO 설치가 가능하다.(2023년 3월 1일 기준)
-> 한컴오피스 2014는 온라인 업데이트는 작동하지 않고, 오프라인 마지막 패치 파일로 9.1.1.5656까지 잘 설치가 된다. 한컴오피스 NEO는 2022년 10월 13일 패치 파일로 업데이트가 잘 된다. 한글 입력기로 ibus를 사용하는데 별도의 설정 변경 없이 한글 2014에서 한글 입력이 잘 된다. 한글 2014에서 오른클릭하면 xfce 하단 패널이 뜨는 문제와 다른 프로그램으로 전환해도 wine cpu 점유율이 80~90%나 잡아먹는다.(펜4 3.0 기준)
- pdf 저장이 안 되는 문제.(hancom pdf 드라이버가 설치되지 않는다). (한컴오피스 2014, NEO)
- 기동 시 마우스 포인터가 다른 모니터에 위치한 상태면 그 위치에서 프로그램이 나타난다. 기본 모니터가 아니여서 그런지 마우스 포인터도 해당 영역에서 안 보이고 키도 안 먹히는 상태가 된다.(강제 종료해야 함). WINE 8.2 버전.
- 한쇼 2014, 한컴타자연습 2014는 실사용이 불가능할 정도로 동작하지 않는다.(처음 실행은 잘 됨)
'리눅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nvim(NeoVim) 사용 노트 (0) | 2023.12.04 |
---|---|
Arch Linux 32 사용 노트 (0) | 2023.05.12 |
Arch Linux 사용 노트 (0) | 2023.05.12 |
펜티엄 4 3.0GHz/Xubuntu 22.04.1 64비트 (0) | 2023.01.22 |
우분투 22.04 사용 노트 (0) | 2022.10.14 |